기사 메일전송
'갤S6·엣지' 사활건 삼성..로고도 없앴다 - '삼성'대신 '도코모' 로고로 23일 일본 출격..중국선 갤S6 대신 '가이러스'로 판매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4-19 14:50:58
기사수정

삼성전자가 '삼성' 로고까지 버리며 '갤럭시S6' 마케팅에 사활을 걸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23일 일본에 출시하는 '갤럭시S6'에 삼성 로고를 없앴다. 대신 일본 도코모의 로고가 표시된다.

▲ 일본에 소개된 갤럭시S6. NTT도코모의 로고는 들어있으나 삼성 로고는 빠져있다. 사진=NTT도코모 홈페이지 캡쳐

일본 통신사 NTT도코모는 23일 시판에 앞서 홈페이지에서 '갤럭시S6'와 '갤럭시S6엣지' 예약판매를 시작했다. 홈페이지 안내문에 올라온 삼성전자 '갤럭시S6'에는 삼성 로고 대신 도코모 로고만 표시돼 있다.

전작 '갤럭시S5'를 시판할 때는 앞면에 도코모 로고를 새기고 뒷면엔 갤럭시S5와 삼성 로고가 표시돼 있었지만 이번엔 아예 '삼성' 표시를 찾아볼 수가 없다.

일본 소비자들은 소니나 샤프 등 현지업체에 대한 충성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1위를 기록한 삼성전자가 일본에서만 고전한 이유다. 
 
중국에서는 '갤럭시S6'의 중국어 표기를 '가이러스'로 바꿨다. 가이러스(盖乐世)는 '세상(世)을 행복(乐)으로 덮는다(盖)'는 뜻으로, 젊은층이 좋아하는 단어인 러(乐)를 넣고 갤럭시와 발음을 비슷하게 만들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중국에서 점유율 5위까지 추락하는 고전을 겪은 바 있다. 실패 전철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삼성전자는 '갤럭시S6'에 대한 중국 현지 마케팅에서 '갤럭시' 이름을 고집하지 않고 현지이름으로 바꾸는 등 철저하게 현지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전략 지역으로 꼽은 중동 지역에선 아랍어에 맞는 사용자 환경을 선보였다. 갤럭시S6에 아라빅 UX를 선택하면 글씨 입력칸이 오른쪽에서 왼쪽의 순서로 바뀐다. 아랍어는 한국어나 영어 등 다른 언어와 달리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글씨를 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똑같은 제품을 만들어 파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의 개성을 살리고 현지에 맞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접목한 것"이라며 "초기 반응은 매우 좋아 기대를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6353
  • 기사등록 2015-04-19 14:50:58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우원식 국회의장, 한덕수 권한대행 대정부질문 불출석에 '강력 경고' 우원식 국회의장이 14일,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회 대정부질문에 불출석한 것에 대해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 이런 무책임한 태도가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우 의장은 이날 오후 열린 제424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오늘 국무총리가 일방적으로 불출석했다. 양 교섭단체의 양해도 없었고 .
  2. 오세훈 시장, '땅꺼짐' 불안 잠재우기 총력… 철도 건설 현장 GPR 탐사 '강도 높은 안전 대책' 가동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근 잇따른 지반 침하 사고와 봄철 인파 밀집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14일(월) 오후 2시,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긴급 안전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관련 부서에 철저한 점검과 신속한 조치, 원인 규명에 총력을 기울여 안전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문했다.이날 회의는 오 시장을 비롯해 행정 1·2&mi...
  3. 미아동 345-1 일대, 25층 규모 주거단지로 재탄생… 신속통합기획 확정 서울시는 23일, 수십 년간 개발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던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을 통해 해당 지역은 북한산 경관을 살린 조망과 녹지축을 기반으로, 25층 내외의 아파트 1,2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시는 이번 개발이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주변과의 조화...
  4. “경기도 접경지, 버려진 집을 핫플로! 재탄생(Reborn)”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접경지역 시군과 협력해 2025년도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에서 신청한 117개 가운데 정비 기준에 맞는 대상지 32개를 최종 선정해 빈집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상지.
  5.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19.5%만 스마트공장 도입…대부분 기초단계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28일 「제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2023년 7월) 이후 처음 실시된 것으로,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파악했다.실태조사 결과,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사 중 스마트공장을...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