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사업자단체 포함)가 어떤 행위를 하기 전에 미리 공정거래법 등 위반여부 심사를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에 청구하면, 공정위가 이를 사전심사하여 서면 회답해 주는 제도를 말한다. 회답은 공정위의 공식입장으로서 적법하다고 인정한 행위에 대해서는 사후에 법적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의 일반상담(공정거래법 등에 대한 설명이나 해석, 법 적용에 관한 사적 의견 제시 등)과는 다르다. 법 운용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심사결과는 공정위 홈페이지 등에 공개하여 모든 사업자가 참조하도록 한다.
사전심사청구제도는 법적 안전성 훼손, 기업 손실 등 사후 시정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사업자 입장에서는 안심하고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사후 시정으로는 회복하기 어려운 소비자나 다른 사업자의 피해를 방지하고, 당해 사업자의 손실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민간법률자문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사전심사 청구는 공정위가 운용하는 공정거래법, 가맹사업법, 표시광고법, 하도급법, 전자상거래법, 방문판매법 (이하 ‘공정거래법 등’)의 적용대상이 되는 행위에 대해 할 수 있다. 다만, 공정거래법 제7조에 규정된 기업결합에 관한 행위는 사전심사 대상에서 제외된다. 사전심사 청구는 대상행위를 직접 실시할 사업자(청구인)만 할 수 있으며, 거래상대방ㆍ이해관계인 등 청구인 이외의 자는 해당되지 않는다.
사전심사 대상행위가 계약에 의한 경우에는 계약의 양 당사자가 함께 청구하거나 혹은 한쪽 당사자가 청구할 수 있다. 대상행위는 공정거래법 등의 적용대상이 되는 행위로서, 청구인이 앞으로 실시하기로 결정한 구체적, 개별적 행위에 대해서만 사전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
다른 정부기관의 승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전심사 없이는 승인이 불가능하거나 해당 승인기관이 문서로 요청한 경우에만 청구할 수 있다. 청구방법은 청구서에 관련 자료를 첨부하여 공정위에 제출하며, 지방사무소를 경유한 제출도 가능하다. 청구인은 위법 여부 심사에 필요한 자료와, 공정거래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추가로 요청하는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