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두산重, 1조원 규모 베트남 화력발전소 수주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4-13 11:12:48
기사수정

두산중공업(대표이사 부회장 박지원)이 베트남에서 약 1조원 규모의 석탄화력발전소 공사를 수주했다.

두산중공업은 베트남 하노이에서 베트남 정부 황충하이(HOANG TRUNG HAI) 부수상과 발주처인 베트남 석유공사(Petro Vietnam) 응우엔 꾸억 칸(NGUYEN QUOC KHANH) 사장, 두산중공업 정지택 부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1200MW급 '송하우(Song Hau) 1'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 두산중공업 정지택 부회장 (앞줄 오른쪽)과 릴라마 르 반 뚜언 사장 (앞줄 왼쪽)이 지난 10일 베트남 하노이 현지에서 송하우(Song Hau)1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계약을 체결하고 악수를 하고 있다.

송하우 1 석탄화력발전소는 호치민에서 남서쪽으로 200km 떨어진 하우장 지역에 건설되며 베트남 남부 지역의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산중공업은 보일러와 터빈을 비롯한 주기기와 보조기기 등 발전 설비 부문을 일괄 도급(EPC) 방식으로 공급해 오는 2019년 10월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두산중공업 김헌탁 EPC BG장은 "2009년부터 베트남 쭝꾸엇 지역에 대규모 생산공장인 두산비나를 세우고 현지 투자와 사회공헌 활동 등 현지화 노력을 해온 결실이 나오고 있다"며 "이번 수주를 통해 2020년까지 약 30GW 규모의 베트남 발전시장 뿐 아니라 인도 태국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시장에서도 확고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2010년 이후 베트남에서만 총 6조원 규모의 수주실적을 올렸다. 2010년 1조4000억원의 몽중 2 화력발전소를 시작으로 2013년 1조6000억원의 빈탄 4 화력발전소, 지난해 12월 1조8000억원의 응이손 2 화력발전소 등 5개 발전소를 수주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5938
  • 기사등록 2015-04-13 11:12:48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2. 추미애와 김부겸의 동병상련 손학규도, 김부겸도, 추미애도 운발이 나빴을지 모른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오심도 경기의 일부이듯, 운도 실력의 불가피한 구성요소인걸.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주류로 계속 군림하기란 그만큼 힘겹다는 의미이다. 물론, 세 번의 시험 모두에 깔끔하고 완벽하게 통과하고서도 범털이 되지 못하고 만 인간들도 여의도 정치권에는 부지기수...
  3. 윤 대통령, "국가·국민 위해 파이팅하자…한몸으로 뼈가 빠지게 뛰겠다" 윤석열 대통령은 30일 국민의힘 22대 국회의원에게 "앞으로 4년 동안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으로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파이팅 해달라"고 당부했다.윤 대통령은 이날 국민의힘 국회의원 워크숍에 참석해 "여러분 한 분 한 분이 당과 국가의 귀중한 자산"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윤 대통령은 "오늘 여러분을 보니 정말 스트레스가 풀리고 힘이 난다...
  4. '한일중 회의체' 정례화 복원…"한반도 문제 정치적 해결 노력" 한국과 중국, 일본이 3국 정상회의를 다시 정례화하기로 했다. 지난 4년 5개월 동안 중단됐던 3국 정상회의를 재개함으로써 3국 협력체제의 복원과 정상화에 합의한 것이다.한반도 비핵화 문제에는 정치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지만, 한일 양국과 중국의 입장이 달라 구체적인 해법에 대한 합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5. 경기 일부지역 전세가율 80~90% 등 상승세...깡통전세 우려 최근 3개월 동안 경기도 내 일부지역의 아파트와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주택매매가격에 대비한 전세가격의 비율)이 80~90%를 넘자, 경기도가 ‘깡통전세’ 위험이 있다며 임차인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경기도는 한국부동산원의 매매·전세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4월 기준 최근 3개월간 아파트, 연립·다세대 전세...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