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금양 기자 기자
우리나라 성인남녀의 36%는 자신이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조사전문기관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지난 3월 서울과 6대 광역시 거주 만 20~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과 행복 조사' 라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우선 본인이 행복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36%로 조사됐다. 행복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64%였다. 또 전체 대상자 중 3분의 1이 우울, 불안, 분노 같은 정서적 문제를 경험하고 있었다.
우울증과 불안장애가 의심되는 비율은 각각 28%, 21%였고 분노조절장애가 의심돼 전문가 상담이 필요한 대상자도 11%에 달했다.
한 번 이상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에게 상담이나 치료를 받고 싶은 문제가 있었다는 응답한 비율은 42%였다. 상담 받고 싶은 문제는 우울증이 44%로 가장 높았으며 실제 치료를 받은 대상자 중 70%가 증상 호전을 경험했다.
우울증은 연령에 따라 증상에 차이를 보였는데 20~30대는 일상생활에 흥미 상실, 40대 수면장애·불면증과 이유 없이 우는 현상, 50대는 인지장애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복응답 기준으로 우울증 하면 떠오르는 증상은 기분 저하, 흥미 상실이 각각 83%, 79%로 조사됐다. 집중력 저하, 결정 장애, 건망증 같은 인지 기능 저하로 생각하는 비율은 51.6%였다. 또 전체 응답자의 56%는 스스로 우울증을 의심해 본 경험이 있었다고 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