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는 31일 인천시 송도 국제업무지구 내 도심 서킷에서 회사 관계자와 기자단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자동차 서울모터쇼 프리뷰´ 행사를 가졌다.(사진은 현대차의 자율주행 차량이 차선에 진입하는 다른 차량을 피해 속도를 줄이는 모습)
현대·기아차가 올 하반기 출시되는 신차부터 고속도로 부분 자율주행이 가능한 시스템을 적용하는등 2020년까지 다양한 도로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에 나선다.
운전자가 운전대나 액셀레이터를 밟지 않아도 앞차를 따라 알아서 가다 서다를 반복하고 도로 상황에 맞게 운전이 가능한 기술이다. 장기적으론 사람이 없이 알아서 운전하고 주차까지 하는 완전한 무인주행 시스템도 개발한다.
현대자동차는 31일 인천시 송도 국제업무지구 내 도심 서킷에서 '현대자동차 서울모터쇼 프리뷰' 행사를 갖고 자율주행 기술 시연회를 가졌다. 이날 행사에서 내달 2일 개막하는 서울모터쇼에 선보일 차량과 신기술을 소개하고 향후 차량개발 방향 및 미래 스마트카의 핵심인 자율주행 기술의 개발 로드맵을 공개했다.
현대차는 고속도로 상에서 부분 자율주행이 가능한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을 국산차 최초로 양산화하고 올 하반기 선보이는 신차에 탑재한다. 신형 제네시스에 선행 연구용으로 탑재된 자율주행 기술인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을 처음으로 시연했다.
현대·기아차는 2020년부터 고속도로와 도심을 비롯한 여러 도로 환경에서 운전자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 자율주행 기술을 상용화 한다는 방침이다.
현대·기아차가 개발 중인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은 차량 정체 및 끼어들기 등 교통상황이 보다 열악한 도심 구간에서도 작동이 가능한 차세대 자율주행 기술이다. 이 기술은 △저속 구간에서도 구현이 가능하고 △가다서다를 반복하는 도심 구간에서도 앞차와의 거리 유지 및 차선유지 주행 △차선 인식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레이더와 카메라로 주변 차량과 사물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부분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자율 주행을 달성하기 위해 현대·기아차는 △각종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을 파악하는 '인지'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전략을 수립하는 '판단' △실제 주행을 구현하는 '제어' 등 세 분야를 중심으로 핵심 기술을 독자화하고 기술 최적화 및 안정성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현대·기아차는 장기적인 과제로 완전한 자율주행 기술의 구현을 위해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자율주차 분야에서 현재 주요 차종에 이미 적용하고 있는 '주차 조향보조 시스템(ASPAS)'을 발전시킨 '원격 전자동 주차 시스템(RAPAS)'의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