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율리우스력... 로마 달력의 역사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3-16 08:30:15
기사수정

기원전 46년 카이사르가 태양력을 발표할 때 음력과 양력의 차이로 인해 각 달의 날짜 수는 이전의 음력 날짜와 달라야 했습니다. 이전의 달력은 31일인 달이 네 개(3,5,8,10), 29일인 달이 7(1,4,6,7,9,11), 28일인 달이 하나(2)였습니다. 율리우스력에서는 31일인 달 7(1,3,5,7,8,10,12), 30일인 달 4(4,6,9,11), 28일인 달 1(2)로 고정되었습니다. 물론 윤년일 때는 음력 시대의 전통에 따라 12월 말이 아닌 2월에 하루를 추가했습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에 의해 태양력이 공식 달력으로 공포되었지만 각 달의 이름은 그대로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기원전 44년 카이사르가 죽은 후 그에 대한 존경의 뜻에서 그가 태어난 7(Quintilis)July로 바뀝니다.(카이사르가 직접 바꾼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기원전 8년 당시 황제였던 아우구스투스(Augustus)8(Sextilis)을 자신의 이름을 딴 August로 바꿉니다. 그가 황제가 되기까지 중요한 사건들이 8월에 일어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우구스투스가 August30일에서 31일로 바꾸었다는 이야기는 잘못된 것입니다. 이미 카이사르에 의해 8월은 처음부터 31일로 정해져 있었습니다.
 
그 후 아우구스투스의 뒤를 이은 테베리우스 황제 때는 원로원 의원들이 9월을 Tiberius로 바꾸자고 제안했지만 황제가 이를 거절했습니다. 황제가 바뀔 때마다 달 이름을 바꾸면 나중에 어떻게 할 것이냐며 오히려 원로원 의원들을 꾸짖었다는 일화는 유명합니다. 반대의 경우도 있었습니다. 악명 높은 네로 황제는 서기 65April을 자기 이름을 딴 Neroneus로 고치고, 5May6JuneClaudius(네로 황제의 양아버지), Germanicus(네로의 외할아버지이자 클라우디우스의 형)로 고치지만 그가 죽자 모두 원래대로 환원되었습니다.
 
로마 최초의 태양력인 율리우스력은 1년을 365.25일로 해서 4년에 한 번씩 윤년을 두는 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지구가 태양을 공전해서 다시 원래의 춘분점까지 오는 데 걸리는 시간(태양년 혹은 회귀년이라고 함)365.2422일입니다. 따라서 율리우스력에서는 매년 0.0078(365.25- 365.2422)의 차이가 생깁니다. 1년에 0.0078(시간으로 나타내면 1114)이 짧은 시간이긴 하지만 128년 정도가 지나면 이 차이가 하루가 됩니다.
 
처음 율리우스력이 공포되었을 때 춘분날은 325일이었습니다. 하지만 서기 325년에는 321일로 옮겨져 있었습니다. 율리우스력의 오차 때문이기도 하지만 초기에 윤년을 잘못 적용한 문제도 있었습니다. 춘분의 날짜가 계속 바뀐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봄의 한가운데에 해당하는 춘분이 1월이나 2월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춘분을 기준으로 부활절을 정하는 기독교인들에게도 춘분날이 변하는 것은 문제였습니다. 당시 로마 황제였던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를 정식 종교로 인정하고 기독교인들의 화합을
위한 니케아 종교회의를 소집합니다. 이 자리에서 춘분날이 321일로 고정되고, 춘분이 지난 후 첫 번째 보름달이 뜬 다음 일요일이 부활절 날짜로 결정됩니다.
 
세월이 흘러 그레고리우스 13세가 로마 교황으로 있었던 16세기 후반에는 실제 춘분이 311일로 달력과 10일의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이 차이를 수정하기 위해 다시 달력 개혁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그레고리력입니다.
 
생활천문학 강좌가 3월부터 시작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페이스북에 친구 추천을 해 주시거나 메일 (byeldul@nate.com), 또는 네이버 블러그 http://blog.naver.com/byeldul 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4877
  • 기사등록 2015-03-16 08:30:15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서울-여수, 물길로 잇는다…세계 최초 '여수섬박람회' 성공 위해 손잡아 서울시가 2026년 9월 여수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초 '여수 세계섬박람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전남도, 여수시와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서울시는 7일 오전 11시 10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박람회 공동조직위원장인 김영록 전남도지사, 정기명 여수시장, 박수관 ㈜YC Tec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여수세계섬박...
  2. DMZ에 봄이 왔나 봄… 복수초 개화, 봄 알리는 신호탄 DMZ에 봄이 찾아왔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3월 11일,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에 위치한 DMZ자생식물원에서 북방계 식물인 복수초가 개화했다고 밝혔다. 겨우내 쌓였던 눈이 녹으면서 복수초가 피어나 DMZ에도 봄이 왔음을 알렸다.복과 장수를 상징하는 복수초는 새해 들어 가장 먼저 꽃을 피워 봄의 전령으로 불린다. DMZ자생식물원의 복수초는 ..
  3. 기상청, 제42회 기상기후 공모전 수상작 40점 발표 기상청은 '제42회 기상기후 사진·영상 공모전' 수상작 40점을 3월 12일 기상청 누리집과 공모전 누리집을 통해 발표했다. 한 달여간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는 총 3,509점의 작품이 접수되었으며, 이 중 사진 부문 37점, 영상 부문 3점 등 총 40점의 작품이 최종 선정됐다. 사진 부문 상위 7개 작품은 심사위원단의 점수(50%)와 국...
  4. 승차권 취소 수수료 기준 개편… 고속버스 이용 효율성 높인다 정부가 고속버스 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승차권 취소 수수료 기준을 개편한다. 이번 개편안은 오는 5월부터 시행되며, 평일, 휴일, 명절 간 수수료 기준을 차등 적용하고 출발 후 취소 수수료를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현재 고속버스는 평일, 휴일 구분 없이 출발 전 최대 10%, 출발 후 30%의 취소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
  5. 2027년부터 지방공무원 공채시험 대폭 개편… 7급 PSAT 도입, 9급 한능검 대체 2027년부터 지방공무원 공채시험이 대폭 개편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방공무원의 직무 역량을 강화하고 수험생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지방공무원 임용령」 및 「지방연구지도직규정」 일부 개정안을 19일부터 입법 예고한다고 밝혔다.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7급 공채시험에 공직적격성평가(PSAT)를 도입하고, 9급 공채시험의 한국사 과목을 ...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