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NASA의 왜행성 탐사선 돈(dawn) 이야기 - 행성에서 소행성, 그리고 다시 왜행성으로 분류가 바뀐 세레스!

이태형 박사 기자

  • 기사등록 2015-03-09 08:17:21
기사수정

▲ 3월 6일 돈이 세레스의 중력에 잡혔을 때의 위치도.

인류 최초의 왜행성 탐사선 돈이 3월 6일 드디어 세레스에 도착했다.

지구에서 약 4억km 떨어진 화성과 목성 사이, 그곳에는 행성이 되지 못한 수많은 작은 소행성들이 띠를 이루어 태양을 돌고 있습니다. 이곳을 소행성대라고 합니다. 소행성대에서 가장 크고, 가장 먼저 발견된 것이 바로 세레스입니다. 세레스는 지름이 약 950km로 지구의 1/15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태양계 천체들 중 세레스만큼 파란만장한 역사를 가진 것도 없을 것입니다.

세레스가 처음 발견된 것은 1801년이었습니다. 당시 이탈리아의 시칠리아 섬에서 세레스를 발견한 천문학자 피아치는 이 작은 천체에 시칠리아의 수호신인 케레스(Ceres, 영어로는 세레스로 읽음)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로마신화에서 농업과 대지의 여신인 케레스는 그리스신화에서는 데메테르(Demeter)란 이름으로 등장합니다. 제우스신의 남매이자 올림포스 산의 12신 중 한 명인 데메테르는 지하 세계의 신 하데스(로마신화의 Pluto)의 부인인 페르세포네의 어머니로도 유명합니다.

천문학자들은 세레스를 처음에는 행성으로 분류하여 상당한 대우를 했습니다. 행성의 기호도 붙여졌는데, 금성(♀)의 기호에서 o대신 c를 붙여 만들었습니다. 1803년에 새롭게 발견된 원소에는 세레스의 이름을 딴 세륨(cerium)이란 이름이 붙여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몇 년 사이에 비슷한 위치에서 여러 개의 작은 천체들이 발견되면서 세레스의 행성 지위에 대한 논란이 일기 시작했습니다. 50년 이상을 행성으로 분류되었던 세레스는 결국 1860년대에 이르러 행성의 지위를 잃고 소행성으로 분류가 바뀝니다. 그 후 150년 가까이 지난 2006년 8월, 세레스의 잃었던 자존심을 조금 되찾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아홉 번째 행성이었던 명왕성이 행성에서 빠지면서 행성과 소행성 사이에 왜행성(dwarf planet, 난쟁이 행성)이란 분류가 새로 생겼습니다. 그리고 세레스는 명왕성과 함께 왜행성으로 분류되어 소행성들과는 다른 대우를 받게 되었습니다.

소행성들은 찌그러진 감자 모양으로 구형의 행성들과는 크기뿐 아니라 모양도 다릅니다. 세레스는 행성과 비슷한 구형의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천체가 구형이라는 것은 그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중력을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세레스는 소행성대에 있는 모든 천체들 중 질량이 가장 크기 때문에 당연히 중력도 제일 셉니다. 왜행성과 행성의 차이는 그 궤도를 함께 쓰는 다른 천체들이 있느냐 없느냐는 것입니다. 세레스와 명왕성은 궤도 주변에 다른 천체들이 많기 때문에 행성으로 분류되지 못한 것입니다.

지난 6일 미국항공우주국 나사의 탐사선 돈(Dawn)이 인류 역사상 최초로 왜행성 세레스에 도착했습니다. 돈이 세레스에 도착했다는 것은 세레스의 중력에 잡혀 그 둘레를 도는 인공위성이 되었다는 뜻입니다. 현재 돈 우주선은 세레스에서 5만km 정도 떨어져 있는데 약 2만 km까지 접근하는 4월 하순부터 본격적인 탐사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돈은 올 연말 최대 375km까지 세레스에 접근하여 내년 6월까지 탐사를 계속할 계획입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4730
  • 기사등록 2015-03-09 08:17:21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우원식 국회의장, 한덕수 권한대행 대정부질문 불출석에 '강력 경고' 우원식 국회의장이 14일,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회 대정부질문에 불출석한 것에 대해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 이런 무책임한 태도가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우 의장은 이날 오후 열린 제424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오늘 국무총리가 일방적으로 불출석했다. 양 교섭단체의 양해도 없었고 .
  2. 오세훈 시장, '땅꺼짐' 불안 잠재우기 총력… 철도 건설 현장 GPR 탐사 '강도 높은 안전 대책' 가동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근 잇따른 지반 침하 사고와 봄철 인파 밀집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14일(월) 오후 2시,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긴급 안전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관련 부서에 철저한 점검과 신속한 조치, 원인 규명에 총력을 기울여 안전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문했다.이날 회의는 오 시장을 비롯해 행정 1·2&mi...
  3. 미아동 345-1 일대, 25층 규모 주거단지로 재탄생… 신속통합기획 확정 서울시는 23일, 수십 년간 개발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던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을 통해 해당 지역은 북한산 경관을 살린 조망과 녹지축을 기반으로, 25층 내외의 아파트 1,2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시는 이번 개발이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주변과의 조화...
  4. “경기도 접경지, 버려진 집을 핫플로! 재탄생(Reborn)”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접경지역 시군과 협력해 2025년도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에서 신청한 117개 가운데 정비 기준에 맞는 대상지 32개를 최종 선정해 빈집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상지.
  5.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19.5%만 스마트공장 도입…대부분 기초단계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28일 「제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2023년 7월) 이후 처음 실시된 것으로,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파악했다.실태조사 결과,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사 중 스마트공장을...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