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욱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기온 상승에 따라 학교 등 집단급식소에서 식중독 의심신고가 증가하고 있어, 조리종사자 및 급식소 종사자들에게 식중독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킬 것을 당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기온 상승에 따라 학교 등 집단급식소에서 식중독 의심신고가 증가하고 있어, 조리종사자 및 급식소 종사자들에게 식중독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킬 것을 당부했다.
올해 5월 둘째 주까지 집단급식소 식중독 의심신고는 총 110건으로 최근 3년 평균(84건) 대비 31% 증가했으며, 이 중 약 48%는 학교 급식에서 발생했다. 특히 5~6월에는 살모넬라, 병원성 대장균, 캠필로박터 제주니 등에 의한 세균성 식중독이 빈번히 발생하는 시기다.
살모넬라균과 병원성 대장균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육류 및 가금류는 중심온도 75℃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야 하며, 달걀 사용 시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액란이 묻은 손이나 조리기구로 다른 식재료를 취급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캠필로박터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생닭을 충분히 익히고, 생닭 세척 후에는 손을 30초 이상 비누로 씻은 뒤 다른 식재료를 다뤄야 한다. 생닭은 핏물이 다른 식품에 닿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고 아래 칸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소류는 염소 소독제에 5분간 담근 후 수돗물로 3회 이상 씻어야 하며, 세척 후에는 가능한 한 바로 섭취해야 한다. 대량조리 시에는 필요한 양만큼 나누어 조리하고, 조리 후 즉시 냉각·소분하여 보온고(60℃ 이상) 또는 보냉고(5℃ 이하)에 보관하는 것이 식중독 예방에 효과적이다.
식약처는 계절별 식중독 발생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국민에게 식중독 예방의 중요성을 적극 홍보해 안전한 식생활 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