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원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경기회복세가 이어지고 백신 접종률이 확대되는 등의 조건 하에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언급한 가운데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에 엇박자를 놓고 나왔다.
25일 홍 부총리는 "금리가 인상된다면 가계·기업의 금리부담이 커질 것으로 생각된다"고 다소 부정적인 뉘앙스를 남겼다.
홍 부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민주당 정일영 의원의 '한은의 금리인상이 재난지원금을 통한 경기진작과 상충되는 면이 있지 않은가'라는 질문에 "금리에 대해선 통화당국이 독립적으로 얘기하기 때문에 (내가 말하는 건)적절치 않다"면서 여운을 남겼다.
그는 다만 "경제를 운영하는 데 있어 재정정책과 통화정책들이 조화롭게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여러 가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가계, 기업, 정부의 그런 상황(빚 부담)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가 여러가지 재정과 금융정책을 조화롭게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또 "금리를 결정하는 통화정책에 정부가 간섭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아니 한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한은이 독립적으로 한다"며 "한은의 독립성을 최대한 존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 총재는 전날 '2021년 상반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언급하며 연내 금리인상을 언급했다.
그는 금융불균형과 물가 등을 고려했을 때 연내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뜻을 보였다.
그는 "경기회복세에 맞춰 금리를 정상화해나가는 것은 당연한 과정"이라며 "금융불균형에 대응하는 것을 소홀히 하면 반드시 시간을 두고 중기적으로 경기와 물가에도 대단히 큰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고 밝혔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