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지민 기자
청소년들에게 정치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 나왔다.
북네스트 출판사가 <대통령이 다스리는 나라 총리가 다스리는 나라>(청소년을 위한 정치의 역사)를 출간했다. 제목과 부제가 드러내듯 정치의 탄생에서부터 현실 정치에 이르기까지 청소년의 눈높이에서 쉬운 말로 정치를 이야기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을 가져 온 2016년 11월~2017년 3월의 촛불집회에 적지 않은 청소년들이 참여하고 심지어 발언대에도 올랐듯 10대라고 어린 것만은 아니다. 하지만 학교에서 정치와 민주주의를 다루는 시간이 많지 않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도서도 제대로 제공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책은 주요 내용으로 나라와 정치는 어떤 계기에 생겨났는지, 고대와 중세의 정치는 어떠했는지, 좋은 정치와 나쁜 정치는 무엇이 다른지, 또 유럽의 시민혁명이 촉발시킨 주권의식, 현대 민주주의의 두 축인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의 비교, 우리나라 정치가 해결해야 할 것들 등을 담고 있다.
지은이는 KBS Kwave 등의 매체사와 출판사에서 20년 넘게 일한 기자 출신의 김래주 소설가(56, 한국소설가협회원)이며 역사적 사실과 관련해서는 조원빈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감수 도움을 주었다.
김래주 작가는 “정치 냉소주의가 정도를 넘지만 정치를 이해하는 건 다른 문제다. 청소년들도 장차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담당해야 할 현대에 살고 있고, 합리적인 민주 시민은 저절로 되는 게 아니라 학습과 함께 성장해 가는 것이기 때문”이라는 말로 출간 의도를 밝혔다.
김 작가는 “방관하는 정치는 더 나쁜 정치가 되어 국민을 힘들게 할 수 있다. 역사가 그랬고 가깝게는 촛불집회의 근원도 그 범주의 일이 아니었나”라며 청소년들에게 정치를 가르치지 않은 건 옳지 않다고 말한다.
<대통령이 다스리는 나라 총리가 다스리는 나라>는 정치사를 들려 주면서 사이사이 현실 정치와도 연관지어 이야기를 펼친다. 고대 로마와 진나라의 멸망, 프랑스혁명, 근대 주권주의 성장, 우리나라의 군정과 민주화 등을 시민의식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나아가 민주주의에 대해서도 나라마다 결과가 천양지차인 점을 지적하며 정치는 국민이 그 허점을 얼마나 잘 메우는가에 달렸다고 강조한다.
‘민주주의는 인류가 고안한 가장 덜 나쁜 정치체제일 수는 있어도 완벽한 제도인 것은 아닙니다. 정치는 국민이 깨어 있어야 궁극적으로 국민의 삶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들에게 정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전하고자 합니다. 아는 만큼 더 잘 판단할 수 있으니까요.’(저자 서문 중)
◇저자 김래주
매체사(KBS Kwave 등)와 출판사에서 기자와 편집장으로 일했으며 소설가(한국소설가협회원), 출판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에 장편소설 <대조선인 안용복(전2권, KBS 라디오극장 ‘좋은 소설’ 선정)>, 중단편소설
◇감수 조원빈
성균관대, 서울대(석사), 미국 미시간주립대(박사)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 미국 켄터키대 정치학과 교수 역임, 현 성균관대 교수 및 ‘좋은민주주의연구센터’ 소장
◇차례
제1장|정치의 탄생
1. 아이돌 스타가 될까 대통령이 될까
2. 정치 이전에 영토, 국민, 주권
3. 나라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4. 정식 나라에 앞서 군장국가가 있었다
제2장|제왕이 곧 국가이던 시대
5. 여러 정치제도가 자라난 고대 로마
6. 황제 ‘시저’의 유래가 된 카이사르
7. 세계 최초로 황제정치의 문을 연 중국
8. 한반도는 삼국시대 때 중앙집권체제를 이루었다
제3장|시민혁명으로 쟁취한 주권정치
9. 중세 유럽은 ‘영주’가 지배하던 봉건사회
10. 민주주의의 뿌리가 된 영국과 프랑스의 시민혁명
11. 국민 주권주의를 성장시킨 근대국가
12. 리더십 부재가 낳은 남미와 아프리카의 비극
제4장|영국식 민주주의 미국식 민주주의
13. 미국이 개척한 대통령이 다스리는 나라
14. 우리나라는 내각제 성격 더해진 대통령제
15. 총리가 다스리는 나라, 의원내각제
16.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를 융합한 이원집정부제
제5장|정치의 여러 얼굴
17. 정치 위에 종교가 있는 아랍의 왕국들
18. 영국연방 국가들은 왜 흩어지지 않을까
19. 쉽지 않은 정치의 봄, 공산국가와 독재국가
제6장|국민을 행복하게 해야 정치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328